1997년부터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했던 외환 유동성 위기를 통칭하는 말.
외환 위기 사태 발생 직전까지, 김영삼 정부의 금융 정책으로 인해 각 기업들은 무분별한 차입에 의존하며 무분별한 과잉투자를 벌였다. 동시에 국외적으로는 태국의 고정환율제 포기로 인해 환율을 이용한 외국 자본의 차익 실현으로 동남아시아에 통화 위기가 발생하였고, 동북아시아를 거쳐 세계 경제에 불안을 가져왔다. 이러한 경제 불안은 한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에 경제 위기를 불러왔다.
이를 1997 아시아 금융 위기(1997 Asia Financial Crisis)으로 불리우며, 인도네시아와 태국은 위기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국가였고,[8] 한국은 단순 지표상으로 앞의 두 국가보다는 덜했으나 역시 엄청난 위기를 겪었다. 홍콩,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몽골, 캄보디아, 마카오 등도 침체에 시달렸다. 브루나이, 중국, 싱가포르, 대만, 베트남 또한 어려움을 겪었지만 영향을 덜 받았다. 그리고 그 당시에 아시아 유일한 선진국인 일본에도 영향을 준 정도로 파급력이 엄청하게 큰 사건이다.[9]
일본은 이미 침체에 들어가 있었기에 영향은 아주 크지 않았지만 1995년을 기점으로 점차 회복세에 접어든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소비세를 5%로 인상하면서 소비 심리가 급속히 위축되었고, 금융회사들도 잇따라 도산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확 꺾여버리고 말았다. 결국, 일본은 1998년도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잃어버린 10년 초-중기 기간 동안 미약하게 증가했던 실질 임금과 가처분 소득도 1997년에 고점을 찍고 하락세로 들어서게 하는 경기 침체를 연장하는 요소를 겪게 되었다. 따라서, 이 금융 위기는 경기 불황에서 다시 일어서려던 일본을 끌어내리는 데 한 몫했다는 점에서 여파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불황이 넷 우익, 일본의 우경화의 간접적인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아시아 금융위기 속에서 무분별한 차입으로 의존하던 국내기업의 외국자본 단기부채 만료와 아시아 경제에 불안감을 느낀 외국자본의 급격한 유출이 발생하면서 외환 보유고가 바닥나게 되었고, 충격을 극복할 수 없을 정도로 단기간에 기업의 파산이나 부도, 대량 실직이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경제 위기로 인하여 단기부채의 연장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상환을 독촉받았다. 한국은 이러한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였는데, 해당 문서는 이를 상환한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IMF는 1997년 말에 발생하여 2001년 8월까지 약 4년간 지속되었으며, 이후에도 'IMF 사태 이후로 힘든 시기'나 'IMF보다 힘든 시기'같은 표현으로 경제적 고난을 상징하는 대명사로 자리잡게 된다.
외환 위기 직전이 호황으로 여겨졌지만, 위기 조짐은 전년인 1996년도부터 보였다. 1996년도의 경제성장률이 1995년도의 9.6%에서 7.9%로 떨어졌던 것이 그 단초였고, 언론에서는 경기 침체를 잇따라 보도하고 있었다. 즉, 이미 그 전부터 불황 조짐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었다.
사실, 당대에도 경제성장률 7% 정도면 전혀 낮지 않은 평균 정도는 되는 수준이었기에, 경기 침체로 경고했던 언론의 부채질은 호들갑 수준이라고 봐도 되었다. 1994년과 1995년도의 경제성장률이 9%대를 잇따라 기록할 정도로 활황이었기에 성장률이 떨어진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었지만,[10] 문제는 이번에는 성장률 감소가 수출액 감소, 대외 채무 폭증 등과 맞물려 있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정부와 기업들은 구조 개선 노력을 하지 않았고, 결국 외환 위기를 초래했다.
당시 대한민국에서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기업과 은행마저도 나날이 무너지며, 대규모 실업 - 대량의 부동산 매각 - 금융불안 등이 일어나게 되었고, 외환 위기 상황으로 확실화된 이후에야 IMF의 계획에 따라 전방위적인 경제적 체질 개선과 대규모의 구조조정이 실행되었다.
이는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일어난 경제위기 사태이다. 대한민국의 GDP와 1인당 GDP는 사태 직전까지 감소한 적이 없었으며, 국가에서 경제위기 상황을 인정한 적도 없었다. 오일 쇼크때 잠시 경제가 안 좋아진 적이 있었지만, 경제에 심한 타격은 주지 않았다. 그래서 1997년 외환위기 사태는 국민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다 주며, 진짜 경제위기가 무엇인지 알려주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경제위기"하면 이 때의 모습을 많이 떠올린다. 또한 국민들의 경제에 대한 믿음도 완전히 바꿔 놓았는데, 한 예로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도 사실 외환위기 이전의 경직된 노동시장에서나 통했던 말이 되었을 정도로 대한민국 경제 구조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용 시장이 불안정해진 이래 대한민국 사회는 2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그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혹자는 국제정치사를 살펴보면 아시아 금융위기(1997년 외환 위기)가 중국이라는 잠자는 용을 일어나게끔 만들고 미국이 중국을 경계하는 계기가 아닐까 하고 생각하기도 한다.[11] 결국 미중 패권 경쟁의 시발점으로 볼 수도 있는 사건이라는 뜻이다.
2008 ~ 2010년대 대침체의 근본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제학자들도 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핑달인... (0) | 2022.01.30 |
---|---|
호랑이해 현상... (0) | 2022.01.29 |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OST Part.6 (0) | 2022.01.13 |
관광시작....한국철도 노선도 (0) | 2021.12.31 |
새해인사...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