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베버의 공업입지론
최소비용론에 입각하여 공업입지론을 전개하다. 즉, 생산비가 최소일 때 기업의 이윤이 최대가 된다는 생각 하에 최소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소를 최적입지장소로 보았다.
2. 전제조건
① 원료산지·시장은 고정
②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
③ 임금의 지역차 존재
3. 결론
① 공장은 최소 생산비지점에 입지
② 운송비, 노동비, 집적이익순으로 입지에 영향
4. 베버의 공업입지론 분석
1) 최소운송비지점
베버는 공장입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운송비로 보았으며, 모든 생산요소에 대한 비용이 지역 간에 차이가 없을 때에는 총운송비가 최소인 지점으로 공장의 위치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운송비는 일반적으로 원료와 제품의 무게 및 수송거리에 의해 결정되므로, 운송비는 무게 × 거리로 표시되며, 총운송비란 원료를 구입하여 제품을 제조한 후 시장에 내다 팔기까지 소요되는 모든 운송비(원료운송비 + 동력운송비 + 제품운송비)를 말하는 데 이 비용이 최소가 되는 지점이 최소운송비지점이 된다.
2) 노동비절약의 지점
다음으로 베버는 노동비를 고려했다. 지역 간에 노동비의 차이가 있으며 어떤 지역의 노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할 때, 운송비가 최소인지점에서 노동비가 저렴한 지역으로 옮겨가는 데 추가 로드는 운송비보다 절감되는 노동비가 더 클 경우 노동비가 저렴한 지점이 최적입지가된 다.
3) 집적이익이 큰 지점
지역 간의 임금격차에 따라 최적입지가 변화될 수 있는 것처럼 집적이익이 큰 것도 최적입지에 영향을 준다. 만일 몇개의 업체가 같은 지점에 입지할 경우 집적경제의 효과가 나타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면 이들은 한 지점에 입지하려고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한 지점에 집적함으로써 각 기업들은 생산비용을 절감시켜 더 많은 이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과창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솥아궁이... (0) | 2022.04.03 |
---|---|
경기도 성남시 불당리 원형황토벽돌집 (0) | 2022.04.03 |
작은 흙집짓기 황토집짓기 (0) | 2022.03.28 |
강남아파트(??) (0) | 2022.03.27 |
레일 없는 창호... (0) | 2022.03.26 |